경제

국내 5대 시중은행 순이자마진(NIM) 변화 추이

“금리 변동 따라 은행도 살짝 흔들립니다”

“순이자마진(NIM)?” 이 단어, 뉴스에서 듣고도
“뭐 중요한가?” 싶었는데 알고 보니 어마어마합니다.
NIM은 은행이 돈 빌려줘서 가져간 이익의 순수 벌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1. NIM이 뭔지
  2. 5대 시중은행(NH농협,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의 최근 변화
  3. 금리 정책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4. 우리의 대출이나 저축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이걸 숫자와 흐름 중심으로 쉽게 풀어볼게요.

1. 순이자마진(NIM)이란 뭔가요?

  • 은행 입장: 돈 빌려줄 때 이자 받고, 예·적금에는 이자 줍니다.
  • NIM 계산법: (받은 이자 – 준 이자) ÷ 은행이 운용하는 돈
  • NIM 의미: 은행이 “실제 얼마나 남기고 일했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NIM이 높은 은행은 대출과 예·적금 구조가 효율적이라 수익성이 좋다는 뜻이고, 낮다면 문제가 있다는 신호입니다.

2. 최근 3년간 NIM 변화 흐름

1) 2022년 – 약 1.67% (끝난 금리 인상 전)

  •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낮은 상황이었고,
  • 은행들도 예·적금 이자 부담이 적었기에 NIM 평균 1.67% 정도 유지되었습니다.

2) 2023년 – 소폭 상승, 평균 1.68%

  • 금리 인상이 계속됐지만
  • 은행은 대출 이자 늘린 대신 예·적금 이자도 올려서
  • NIM은 소폭(+0.01%) 상승에 그쳤습니다.

3) 2024년 – 기준금리 인하 후 NIM 하락

  • 기준금리가 내리면서 예·적금 금리도 내려감
  • 대출 이자도 일부 인하됐지만 비용 측면이 더 컸고
  • 은행 평균 NIM은 1.65%에서 1.59%까지 순식간에 하락했습니다.

4) 2025년 1분기 – 기준금리 인하 영향 본격화

  • 1분기 들어 NIM은 1.60~1.57%까지 추가 하락
  • 특히 농협은행은 대출 구조 영향으로 –0.26%포인트로 가장 크게 줄었습니다.

3. 왜 이런 흐름이 중요한가요?

은행 수익성 반영

  • NIM이 낮아지면 은행 입장에서는 이익 줄었다는 신호
  • 그러면 은행은 수수료 강화, 투자상품 권유, 대출 잔액 늘리기 같은 전략으로 대응합니다.

대출자 입장

  • 은행 수익성 방어가 계속되면,
  • “기준금리가 내려갔으니 대출금리도 다 내렸다”는 기대는 실현되기 어렵습니다.

예·적금 가입자 입장

  • 예·적금 금리가 올라가도
  • 은행이 대출보다 예금 금리를 더 올린다면
  • NIM(수익성) 방어를 위해 예금 금리 인상 폭이 제한될 수밖에 없습니다.

4. 은행별 특징은 어떻게 다른가요?

KB국민은행

  • 지속적으로 1.76~1.78% 수준 유지
  • 대출 규모와 예금 구조가 안정적으로 균형 있어 수익성이 높습니다.

NH농협은행

  • 2024년 기준 1.83 → 1.74 → 1.65%로 가장 큰 폭 하락
  • 농업 관련 대출 집중 구조 특성상 금리 변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하나·우리은행

  • 변화는 있지만 하락 폭이 비교적 완만합니다.
  • 외환, 부동산 금융 등 다각화된 대출 구조가 작용합니다.

신한은행

  • 평균 수준으로
  • 금리 움직임과 동반 흐르며 안정적인 NIM 유지

5.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한국은행 기준금리 움직임

  • 인하 지속된다면 → 다시 NIM 하방 압력 계속
  • 유지나 인상된다면 → NIM은 방어 가능

은행의 대응 전략

  • 대출 중심으로 수익 구조 강화
  • 수수료 상품(신탁, 카드 등) 확대
  • 비이자 수익 확대를 통해 NIM 빈자리 메우기

개인이 주목할 부분

  • 고정금리 상품이 유리: 금리가 내려도 대출금리가 바로 내려가지 않아
  • 예·적금 가입 시 금리 차이 체크: 같은 은행이라도 상품과 시기 따라 차이 큼
  • 투자자라면 은행 주식·채권 투자 시 NIM 흐름 반드시 보세요

요약 정리

  • 2022년: 약 1.67%
  • 2023년: 1.68% (소폭 상승)
  • 2024년: 1.59% (금리 인하 후 급락)
  • 2025년1분기: 1.57~1.60% (하락 흐름 지속)

NIM 감소는 은행이 수익성 방어에 나선다는 뜻이고,
→ 우리는 대출금리, 예금상품, 투자 전략을 다시 점검해야 할 시점입니다.

마무리: 은행이 흔들리면 서민도 흔들립니다

“은행 금리 낮아졌다고 기뻐만 할 수 없습니다.”
금리 아래에서 누가 버티고, 누가 먼저 움직일지를 보는 눈이 필요합니다.

대출자는 고정금리 중심으로 조건 점검
예·적금 가입자라면 금리와 이자 차이 비교 필수
투자자라면 NIM 흐름 확인 후 은행·금융주 투자 여부 판단

금리는 단순히 숫자가 아닙니다.
금리가 움직이면, 누군가는 잃고 누군가는 얻습니다.
“제가 어디에 속해 있는지”부터 구조적으로 따져야 하는 이유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